-
다그3 DPF가 갑자기 자주 동작하게 된다면 그건 집중 탈황 모드 입니다.제품 리뷰 2023. 9. 23. 15:32반응형
앞서 디젤엔진 다그3를 이용해 DPF관리를 하는 방법을 알아봤었습니다. DPF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DPF모드 발생 시 액셀레이터를 10% 정도 누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엑셀을 10% 정도 유지해야 하는 이유와 탈황 모드가 무엇인지 설명드리겠습니다. 마지막에 탈황모드 발동 시 어떻게 동작하는지 영상 첨부 하였습니다.
이 글이 처음이라 DPF모드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DPF관리 디젤엔진 관리 필수 다그3 네오 (DAG3 NEO)로 관리 하는법
이번에 카니발 KA4 신차를 6월에 인도받았습니다. 처음으로 디젤차를 타보는 거라 디젤엔진 관리에 자신이 없어서 관리에 도움 되는 부분을 찾다 보니 자연스럽게 알게 된 DAG3 일명 다그3 입니다.
pyobutler.tistory.com
다그3 플러스 네오 고장진단 하는 방법 확인 하기(영상확인)
카니발 ka4 디젤차량 구매하여 DPF 및 황 관리를 위해 구매한 다그3 네오 구매를 결정한 이유 중 하나인 자가 고장진단이 가능!! 고장진단은 흔히 정비소에서 스캔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진단합니
pyobutler.tistory.com
다그3+ 네오 차종 설정하고 업데이트 하는 방법 확인 하기
다그3+ 네오 차종 설정 하고 업데이트하는 방법 디젤차 필수 제품 다그3+ 네오 사용 중에 있습니다. 다그3 플러스는 사용하려면 사전에 차량에 맞춰서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차종에 맞춰
pyobutler.tistory.com
탈황 모드를 알아보기 전 유료6 디젤 자동차에는 LNT라는 질소산화물 흡장 촉매 장치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질소산화물은 흔히 산성비의 원인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LNT 란?
질소산화물(NOx)를 필터에 흡착시켜서 후분사기능을 통해 높은 온도에서 촉매반응을 일으켜서 공기 중 무해한 물질로 환원(변환)시켜서 배출하는 장치.
황과 LNT 관계
디젤차의 연료인 경유는 현재 초저유황 경유라고 보시면 됩니다. 즉 10ppm 이하의 황이 첨가되어 있다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문제는 LNT에 황이 함께 흡착하면서 황과 산소 가 반응해서 만들어지는 황산화물이 쌓이면서 LNT의 환원작용을 방해하게 됩니다.
다그3에서 황 누적 확인 및 집중 탈황 모드 발생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황 누적과 후분사량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황 누적 량을 표시하는 부분입니다.
후분사량을 표시하는 부분입니다.
연료 분사량으로 엑셀을 밟을 때 숫자가 올라갑니다.
황이 얼마나 누적되면 집중 탈황 모드가 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이 부분은 차량마다 다르고 운행 조건마다 다른 부분이라 정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황이 일정 수치 이상 되면 DPF 모드가 평소 주기와 다른 패턴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보통 300km 정도에 DPF모드가 동작하더라도 집중 탈황 모드가 되면 약 20km 전후 주기로 DPF모드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다그 3에서 탈황 모드를 확인할 수가 있는데 위사진의 후분사량에 L 표시된 부분이 SO라고 뜨면 탈황 중입니다.
평상시 탈황에 신경 쓰지 않는 다면 집중 탈황 모드가 발생되어 잦은 DPF모드가 발생됩니다.
평상시 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탈황 발동 영상.
앞서 DPF모드 때 엑셀패달을 10% 밟은 상태로 유지하는게 좋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가 바로 탈황 때문입니다.
DPF 모드시 탈황 모드도 함께 발동합니다. 그런데 DPF모드 발생 시 DPF에 포집된 매연은 페달 포지션을 유지하지 않더라도 시간이 더 늘어날 뿐 결국 모두 매연을 모두 태웁니다. 그러나 탈황은 다릅니다.
탈황이 되는 조건이 엑셀페달을 유지해야 발동되고 패달을 유지하는 만큼 탈황모드 발동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영상 확인 시 오른쪽 첫 번째 황누적량이 깜빡깜빡하여 탈황 모드가 발동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왼쪽 3번째의 연료 분사량을 확인 하시면 숫자가 0이 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엑셀페달을 지속적으로 누른상태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영상 후반부에는 황 값이 내려가는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와 같이 탄력주행을 선호하고 국도운전 비율이 높은 운전자는 페달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DPF모드시 탈황에 불리합니다. (탄력주행란 일정 속도까지 패달을 밟다가 속도가 올라가면 패달에 발을 때서 연비운전을 하는 운전습관)
평상시에 국도 비율도 높고, 연비를 위하여 탄력주행을 선호하시는 분들이라도 DPF모드가 발생된다면 되도록이면 페달을 10%이상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국도가 아닌 신호가 없는 자동차 전용 도로 또는 고속도로에서 패달을 10% 누른 상태로 항속 운전으로 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집중 탈황 모드가 발동되지 않도록 사전에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제품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퓨리케어 자연기화식 가습기 자동청소 하는 방법 알아보기. (62) 2023.10.11 다그3 플러스 네오 고장진단 하는 방법 확인 하기(영상확인) (79) 2023.10.06 크레마 모티프 이북리더기 폰트 변경 하는 방법 확인 (71) 2023.10.05 DPF관리 디젤엔진 관리 필수 다그3 네오 (DAG3 NEO)로 관리 하는법 (4) 2023.09.22 yes24 크레마모티프 (CREMAMOTIF) 이북리더기 2주 실사용기 (0) 2023.09.16